728x90
반응형

 진드기매개뇌염(Tick-borne Encephalitis)은 플라비 바이러스 속(Flavivirus Genus)에 속하는 진드기매개뇌염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증이다.

 가장 많이 발생하는 러시아를 포함해 체코, 에스토니아, 독일, 헝가리,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폴란드, 슬로베니아, 스웨덴, 스위스 등 유럽 지역부터 중국일부 지역 및 일본 북부 지역에 걸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지역에 여행하는 사람들 중 특히 수풀이 우거진 지역을 여행 할 경우에는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5,000-13,000명의 환자 발생 보고되었으나 우리나라에는 아직까지 환자보고가 없다, 하지만 국내 매개체에서 바이러스가 확인되었기에 발병 가능성이 있다.

 국외위험지역에 여행하거나 국내에서도 바이러스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 특히, 수풀이 우거진 지역을 여행할 경우에는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 TBEV에 의한 뇌염은 1931년 오스트리아에서 H. Schneider에 의해 최초로 확인되었으나 원인을 모르다가, 1937년 러시아에서 Zilber가 진드기에 의해 전파되는 원인병원체 진드기매개뇌염바이러스(TBEV, Far-Eastern아형)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사진출처 pixaby]

 

 

 

[감염경로]

- 감염된 진드기의 침(saliva)을 통해 사람을 물 때 감염된다. (물린지 수분 내 감염 가능)

- 살균되지 않은 염소젖, 양젖, 우유, 치즈 등에 인해 감염되기도 한다.

- 사람간 직접 감염은 수혈, 모유수유, 장기이식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

 

 

 

 

[증 상]

잠복기가 약 8(4~28)이며 이 시기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다.

발병 초기에는 발열, 권태감, 식욕부진, 근육통, 두통,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환자는 2단계의 임상증상 단계를 보인다.

발병 초기(1)

  : 발열, 권태감, 식욕부진, 근육통, 두통, 오심, 구토 등이 발생한다.

 

발병 후기(2)

  : 약 일주일간 무증상기 후 신경계 증상이 발생하여 경증의 수막염부터 중증의 뇌염까지 다양한 범위로 나타난다.

  : 주로 급성 바이러스성 뇌수막염과 임상적 구분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 척수마비의 경우 주로 팔이나 어깨에 발생하며, 호흡마비를 유발할 수도 있다.

  : 척수액, 뇌 조직 및 말초신경계를 감염시며 심각한 신경학적 손상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진 단]

- 진드기 매개 뇌염에 합당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낸다.

- 뇌조직, 뇌척수액, 혈청 등의 검체에서 바이러스가 분리되거나 항원 또는 유전자가 검출된 경우,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해 4배 이상 증가하는 경우, 검체(혈청, 뇌척수액)에서 특이 IgM 항체가 검출되는 경우 진단한다.

 

 

 

 

[치 료]

특별한 치료법이나 치료약이 없고, 증상에 따른 대증요법, 지지요법을 실시한다.

스테로이드의 사용을 뒷받침하는 명확한 근거는 부재하다.

 

 

 

 

[위험국가 여행 시 예방수칙]

- 수풀이 우거진 지역의 접근을 자제한다.

- 발생국가에서 유제품 섭취 시 살균 처리된 제품인지 확인한 후 섭취한다.

- 이외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일반적인 예방수칙을 준수한다.

등산, 산책, 작업 등 야외활동 시 모자 및 긴 옷 착용

야외활동 시 기피제 사용

옷을 풀밭에 놓아두지 말 것

야외 활동 후 반드시 샤워를 하고 입었던 옷은 세탁할 것

 

* 예방접종

: 오스트리아, 독일 러시아에서 생산된 백신이 있으며, 진드기매개뇌염 발생 국가의 고위험집단을 대상으로 해당국에서 접종이 가능하다. (FSME-IMMUN, Encepur )

 

 

728x90
반응형

'감염병 > 3급감염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큐열]  (0) 2023.12.07
[후천성면역결핍증] AIDS  (1) 2023.10.26
[유비저]  (1) 2023.10.12
[라임병]  (1) 2023.10.06
[중증열성혈소판감소 증후군] SFTS  (1) 2023.10.03
728x90
반응형

큐열은 콕시엘라 버내티(Coxiella burnetii)라는 그람 음성균에 의해 급성 및 만성 감염의 형태로 발현하는 인수공통감염병을 의미한다.

콕시엘라 버내티(Coxiella burnetii)는 단 한 개의 병원체만으로도 감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감염력이 강한 균이다. 이 균은 열악한 환경에서도 수 주에서 수개월 동안 생존할 수 있다.

큐열균에 감염되면 인플루엔자와 비슷한 발열, 근육통, 오한, 급성 간염 등의 발열성 증상이 나타나며, 감염 환자의 약 5%는 만성 큐열로 진행된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전파되지 않기 때문에 환자나 접촉자를 관리할 필요는 없다.

 

주요 감염원은 큐열균에 감염된 소, 양, 염소 등의 젖이나 소변, 분만물이다. 하지만 야생동물, 반려동물, 새, 진드기 등을 통해서도 감염이 매개될 수 있다.

인체 감염은 주로 호흡기나 소화기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 병은 양을 비롯한 가축들이 새끼를 낳는 봄과 초여름에 주로 관찰되며 동물에게는 유산을 일으킨다.

큐열에 감염된 가축과 자주 접촉하는 소나 양 사육업자나 도축장 종사자, 육가공업자, 실험실 근무자, 수의사 등이 고위험 직업군이다.

 

* 호주 퀸즐랜드에서 처음 발견된 질병으로 처음에는 원인균을 몰라 의문의 열병이라는 뜻의 쿼리 열(Query fever)이라 불렸고, 큐열의 Q는 쿼리의 Q에서 따서 이름 지어졌다.

 

[사진출처 : pixabay]

 

 

 

[감염경로]

1. 흡입 전파(airborne transmission)

- 큐열균이 포함된 가축의 유즙, 대변, 출산 배출물(양수 및 태반 등)에 의해 오염된 먼지 및 분무 흡입으로 감염될 수 있다.

- 감염된 가축 및 부산물을 가공하는 시설이나 사체 부검실 등에서도 감염이 가능하다.

2. 식품 섭취

- 살균하지 않은 오염된 유제품 또는 오염된 음식의 섭취로 감염된다.

3. 기타

- 드물게 성접촉, 수혈, 골수 이식 등을 통해 전파된 사례가 보고되었다.

 

 

[증 상]

대부분 2~3주가량의 잠복기를 가지며 임상증상은 매우 다양하고 비특이적이다.

- 갑작스러운 고열, 오한, 두통, 근육통, 전신 쇠약감, 인후통, 마른기침 등과 같은 감기 유사 증상을 보인다.

- 구토, 설사, 복통, 간 비대종대, 육아종, 간염 증상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 발열은 1~2주 정도 지속되며 체중 감소가 오랜 기간 지속된다.

- 환자의 30~50%는 폐렴으로 진행되며 상당 수의 환자에게서 간염이 발생한다.

 

만성 큐열은 일반적으로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된다.

특히 기저 질환으로 인해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나 면역 결핍 환자는 만성 큐열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며 드물게 심내막염, 만성 혈관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진 단]

큐열은 혈액에서 균을 분리하거나, 항원 또는 유전자 검출, 혈청학적 검사를 통해 항체를 확인하여 진단할 수 있다.

 

 

[치 료]

1. 급성큐열

1) 선택치료제

 : 독시사이클린을 사용, 차선책으로 퀴놀론 제제 사용

2) 임산부

 : 트리메토프림, 설파메톡시졸을 투여

3) 소아

 : 클로람페니콜 사용(테트라사이클린계 항균제 사용 불가능)

 

2. 만성큐열

만성큐열에 의한 심내막염의 경우

- 리팜피신, 독시사이클린, 시프로플록사신 중 두 가지 약제를 병합하여 사용한다.

 : 최소 3년 이상 치료가 필요하다.

- 독시사이클린과 하이드록시클로로퀸 병용하여 사용한다.

 : 이 경우 치료 기간을 18개월까지 단축 가능하다.

 : 부작용으로 광과민성 및 망막 독성의 위험성이 있어 햇볕 노출을 피해야 한다.

 

 

[예방 및 관리]

일반적 예방

- 가축에서 큐열 감염이 의심되는 증상이 관찰될 경우 해당 가축은 격리하고, 관련 기관에 검사를 요청하여 큐열 감염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 유증상 가축을 접촉하거나 유사산 등이 발생한 장소를 출입할 경우에는 N95마스크를 착용한다.

- 감염이 의심되는 가축에서 배출된 태반 및 양수 등 유산(분만) 시 배출물, 소변 등의 부산물은 소독 처리한다.

- 열 노출 위험이 있는 모든 업무 및 작업자를 대상으로 큐열 노출위험성 및 큐열 감염증상에 대하여 교육한다.

 

식품 위생

- 모든 유제품에 사용하는 원유는 반드시 저온장시간 살균, 고온단시간 살균, 초고온순간처리법 등으로 열처리를 한다.

- , 비장, 신장, 유방, 태반, 고환, 자궁 등은 고농도의 균을 보유할 수 있는 부위를 생으로 섭취하거나 덜 익혀먹을 경우 감염의 위험이 높으므로 반드시 조리하여 섭취한다.

- 식육 및 내장은 위생적인 방법으로 취급하여 조리과정에서 다른 음식이 오염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작업 위생

- 가축과 접촉이 많은 직업적 고위험군(축산업자, 수의사, 도축관련 종사자, 축산물가공업자 등)은 고위험 작업 수행 시 보호복, 보호안경, 보호장갑, 마스크, 장화를 꼭 착용해야 한다.

- 작업 후에는 반드시 손소독제를 사용하고 상처가 있을 경우 감염 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작업장 위생

- 소가 출산 또는 유산을 하는 경우 전파가 잘 이루어지므로 이후 부산물 등은 소각이나 매몰 처리해야 한다.

- 큐열 동거축은 큐열이 아니더라도 도축장에 도착 후 가장 마지막에 도축한다.

- 도축 시 모든 기구, 기계, 배수로, 바닥 등은 소독약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고온수로 재차 세척한다.

 

개인위생

- 작업 중 및 마친 후 물과 비누로 30초 이상 충분히 손씻기를 수행하고 손소독제를 사용하여 항상 손의 청결 유지하며, 작업장 내에 손씻기 설비를 구비한다.

- 작업장(축사, 도축장) 내에서는 흡연이나 껌 씹기, 음료 및 식품 섭취 등을 금한다.

- 작업 전 베이거나 긁힌 상처는 소독제로 소독하고, 방수가 되도록 붕대로 덮거나 접착성 밴드를 붙여 감염성 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 감염성 물질이 눈, , 입 등에 들어갈 경우 즉시 흐르는 물로 충분히 세척한다.

- 작업복은 작업장 밖으로 입고 나가지 않아야 하며 작업 후에는 세탁한다.

- 감기 유사 증상 등 감염 관련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는다.

- 고위험직업군을 대상으로 정기적 위생교육을 시행한다.

 

728x90
반응형

'감염병 > 3급감염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드기매개뇌염] TBE  (1) 2023.12.08
[후천성면역결핍증] AIDS  (1) 2023.10.26
[유비저]  (1) 2023.10.12
[라임병]  (1) 2023.10.06
[중증열성혈소판감소 증후군] SFTS  (1) 2023.10.03
728x90
반응형

한글로 ‘무른 궤양’이라는 뜻이다.

헤모필루스 듀크레이(haemophilus ducreyi)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성병 (ST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이다.

연성하감은 쉽게 전염이 되지만 완치가 가능한 성병이다.

개발도상국에서 더 흔한 성병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해외 여행이 빈번해지고, 성개방 풍조가 짙어지면서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균주의 검출이 어려운 이유로 발생 환자의 상당수가 진단이 안 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남성에서 여성보다 세 배 정도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염 후 2∼3일에 주로 외음부에 작고 빨간 뾰루지가 생기는데, 곧 고름이 생겨 터져 얕은 궤양이 된다.

궤양은 주위의 정상 조직과는 구별이 용이하나 둥그런 모양의 궤양 주변은 불규칙하다.

궤양의 뿌리 부분은 주변과 함께 말랑말랑하여 연성하감이라하고 매독과는 달리, 연성하감의 궤양은 통증이 없는 경우가 많다.

연성하감(또는 생식기 궤양을 야기하는 다른 STI)에 감염되는 사람은 인체 면역결핍 바이러스(HIV)에 감염되어 이를 전파할 가능성이 더 높다.

 

* 궤양의 양상이 부드럽고 유연하므로 연성하감(Soft Chancre)이라고 명칭 되었고, 매독의 궤양은 단단해 경성하감(Hard Chancre)이라고 각각 이름이 붙여졌다.

 

[그림출처 : pixabay]

 

 

 

[전염경로]

- 연성하감을 가진 사람과 성관계를 하면 직접적인 피부 접촉을 통해 전염된다.

- 직접적인 성접촉이 없더라도 궤양 부위에서 나온 분비물에 피부가 접촉하면 전염될 수 있다.

(궤양이 있을 때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다.)

 

* 출산 당시에 산모의 성 기관에 연성하감에 의한 궤양이 있다고 해도 신생아에 전염되지는 않는다.

 

 

 

[증 상]

무른 궤양의 증상은 보통 성 접촉 후 10일 안에 발생한다.

생식기에서 또는 항문 주위에서 작은 통증성 수포가 형성되어 급속히 파열되면서 가장자리가 고르지 못한 얕은 개방성 궤양이 형성된다.

 

성기궤양

: 붉은 구진으로 시작빠르게 농포로 진행농포가 터져 통증성 궤양 형성, 전형적인 궤양은 지름 1cm-2cm로 경계가 뚜렷하다.

- (남성) 음경의 포피, 음경귀두관, 음경 등에 분포하며 이 궤양을 매우 아프게 느낀다.

- (여성) 외부 생식기, 항문 주위 등에 주로 분포, 궤양이 넓게 발생할 수 있으며 다발성 궤양이 흔히 관찰된다.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아 무른 궤양이 있는지 인식하지 못하고 지나가기도 한다.

 

임파선종

: 무른 궤양 환자의 50% 정도는 궤양이 생긴 후 5~8일 후에 서혜부 임파선으로 염증이 전파된다.

  특징적으로 한쪽 서혜부 임파선이 붓고 단단해지고 통증이 발생한다.

 

 

 

[진 단]

- 궤양에서 원인균을 배양하여 진단할 수 있다.

- 무른 궤양은 매독, 헤르페스 등에 의한 궤양과 혼동될 수 있으므로, 검사를 시행하여 확진한다.

 

 

 

[치 료]

- 경구 또는 주사로 투여하는 여러 항생제가 연성하감에 효과적이며 항생제로 완치되고 전염도 되지 않는다.

 : 치료제에는 Ceftriaxone, Ciprofloxacin, Erythromycin base, Azithromycin 등이 사용된다.

 : 이중 Ciprofloxacin은 임산부나 18세 미만의 청소년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치료 후 궤양은 약 3일이나 일주일 후에 없어지므로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궤양의 크기에 따라 치료 기간이 달라지기도 한다.

- 큰 궤양은 치료 기간이 2주 이상이 걸리기도 한다.

- 심한 경우 흉터가 남기도 한다.

- 배우자는 증상의 유무와 상관없이 검사를 받아야 한다.

 

* 연성하감은 에이즈, 매독, 헤르페스와 같은 다른 성병에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다. 에이즈 감염자는 연성하감이 잘 치료되지 않아서 치료 기간이 길어진다.

 

 

 

[예 방]

- 성관계를 하지 않는다.

- 한 사람의 성 파트너만 유지한다.

- 콘돔과 함께 수용성 살균제를 같이 사용한다.

- 콘돔을 사용한다.

- 연성하감이 생기면 피부 접촉에 의하여 다른 부위로 전염될 수 있으므로 만지지 않아야 한다.

 

 

 

[관 리]

- 병변이 완치될 때까지 성 접촉을 금지한다.

- 연성하감 추정 환자는 치료 당시와 3개월 후에 매독과 HIV, 임질 검사를 시행한다.

- 추적관찰 및 완치판정을 위한 검사를 시행한다.

- 환자가 치료에 순응하였고 증상과 징후가 사라지고, 치료되지 않은 성상대자에게 재노출되지 않았다면 H. ducreyi에 대한 반복된 진단검사는 불필요하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4급감염병에 속하는 <급성호흡기감염증>의 한 종류이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Mycoplasma pneumoniae) 세균이 원인이다.
전체 폐렴 중에서 마이코를라즈마 폐렴은 15~20%를 차지하며 지역사회에서 연중 토착성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산발적으로 유행한다.
학령기 어린이나 젊은 성인에서 호흡기 감염을 가장 잘 일으키는 균이며, 전 세계적으로 발병하여 1년 내내 연중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4-7년 주기로 대유행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보통 가을에 유행이 시작된다.
 
주로 3-15세 학령기 어린이나 젊은 성인에서 잘 걸리며, 3세 미만에서는 흔하지는 않지만 걸릴 수 있다.
다른 세균과 달리 세포벽이 없어서 바이러스와 세균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흔히 사용하는 페니실린 계통의 항생제나 세팔로스포린 항생제에 듣지 않는다.
보행성 폐렴(walking pneumonia)라고 할 정도로 폐렴 중에서 가벼운 폐렴에 속한다. 침상 안정 또는 입원이 필요하지 않으며 일부는 여전히 직장에 출근하고 다른 일상 활동에 참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컨디션이 좋다. 그러나 미코플라스마 폐렴은 때때로 입원이 필요한 보다 심각한 폐렴을 야기하기도 한다.
 

 
 
 
 

[전파 경로]

- 비말 전파(호흡분비물이 호흡경로를 통해서 전파)로 사람과 사람 간 전파된다.
- 주로 동거하는 가족 등 밀접접촉자 또는 집단생활을 하면서 감염된다.
* 증상이 없어져도 오랫동안 전염시킬 수 있고 한번 걸려도 또 걸릴 수 있다.
 

 


 

[증 상]

- 잠복기는 1~4주 (평균 12~14일)이다.
- 5세이하에서는 감기와 비슷하다.
- 발열, 기침, 인후통, 두통, 피로감 등의 경미한 임상증상을 시작으로 인후염 등과 같은 상기도 감염증, 기관지염 등을 유발하며 일부의 경우 중증 비정형 폐렴으로 발전한다.
- 감염 초기 발열, 두통, 콧물, 인후통이 나타나고 이어서 기침이 2주 이상 지속된다.
- 보통 증상이 3-4주간 지속되다가 회복된다.
- 호흡기 외 증상이 나타난다. (피부발진, 위장관 증상, 근골격계 증상)
 
 
 
 

[진단]

- 검체(뇌척수액,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인두흡인물, 가래)에서 M. pneumoniae 분리 동정한다.
- 검체(뇌척수액,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인두흡인물, 가래)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한다.
 
 
 
 

[치 료]

- 증상에 따른 대증요법을 시행한다.
- 필요한 경우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초기에 진단을 놓쳐도 심해지면 항생제를 사용한다.
- 꼭 필요한 경우에만 소아과 의사의 판단하에 입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입원이 필수는 아님)
 
* 항생제 내성
: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항생제 내성이 흔하다.
: 항생제 내성을 고려하여 1차 항생제 치료부터 시작한다.
 - 항생제 치료 : 마크로라이드계(macrolides) 및 퀴놀론계(quinolone) 항생제 투약
 -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아지스로마이신(azithromycin), 클래리스로마이신(clarithromycin) 등
* 단, 18세 이하 소아, 청소년에게 퀴놀론계 항생제는 제한된다.
 
 
 

[예 방]

- 기침 예절 지키기
- 올바른 손 씻기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은 예방 백신이 없어 개인위생수칙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학교나 유치원, 어린이집 등 공동생활을 하는 공간에서는 식기, 수건, 장난감 등의 공동사용을 제한하고, 소아, 학령기 아동들의 호흡기 증상 발생 여부를 관찰하여 적시에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것이 필요하다.
 
 

728x90
반응형

'감염병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대 예방]  (1) 2023.11.08
[광범위 베타 락타마제] ESBL  (1) 2023.11.06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RSV  (0) 2023.10.05
[옴] Scabies  (0) 2023.07.19
법정 감염병  (0) 2023.07.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