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um diphtheriae)의 외독소에 의한 급성 감염 질환으로 인후, 코 등의 상피 조직에 국소 염증을 일으키거나 장기 조직에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위막을 형성하는 비인두염 및 후두기관지염으로 발현되는 호흡기 디프테리아 및 피부 디프테리아가 있다.
전체 환자의 60%가 만 4세 이하의 환자이며, 10세 이상의 경우 발병률이 급격히 감소한다.
이 질환은 가을, 겨울에 특히 잘 발생하며 DPT 예방접종을 시행함에 따라 최근 5년간 국내에서 보고된 디프테리아 환자는 없다.
[전파경로]
- 주로 사람끼리 공기를 통해 전염되나, 오염된 물체에 닿음으로써 전염될 수도 있다.
- 사람이 유일한 디프테리아 균의 숙주로 환자나 보균자와 직접 접촉하여 전염된다.
- 무증상 호흡기 보균자도 균을 전파할 수 있다.
- 적절한 치료를 받은 경우에는 4일 이내에 전염성이 소실된다.
- 가장 흔한 감염 부위는 인두와 편도이지만 인체 모든 부위의 점막에 감염이 가능하다.
* 백신 접종을 받지 않았거나 불완전하게 접종 받았을 경우에 디프테리아에 감염 시는 심각한 감염증이 발생할 수 있으나 접종을 완료한 경우에는 무증상적 보균자 또는 경미한 인후염 증상만을 보이게 된다.
[증 상]
잠복기는 2~7일이다.
치료 받지 않은 사람에게서는 디프테리아 감염증 발생 후 2~6주 동안 코, 목 (인두), 눈 및 피부의 병변에서 균이 분리될 수 있다.
◦ 증상은 서서히 시작되며, 초기에는 발열, 피로, 인두통, 식욕감퇴 증상이 나타난다.
◦ 2-3일 후에 코, 인두, 편도, 후두 등 상기도 침범부위로 화농성삼출물로 인한 위막(푸르스름한 흰색 빛의 막)이 관찰된다.
-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점점 커지면서 연구개까지 뒤덮을 수 있다.
- 발생 1-2주 후 80%에서 기도 폐색을 유발할 수 있다.
◦ 중증인 경우 턱밑이 부어오른다.
- 전경부의 림프선 종대로 bull neck(황소처럼 목덜미가 굵은 모습) 양상이 나타난다.
◦ 후두부 디프테리아
- 발열, 쉰 소리, 개 짖는 소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비강 디프테리아
- 다른 상기도 감염과 유사하다.
- 화농성 분비물이 특징적이고 진행되면 혈성 분비물도 관찰된다.
- 비강은 디프테리아 독소의 전신 흡수가 적은 곳이어서 경한 임상경과를 보인다.
◦ 피부 디프테리아
- 구멍 뚫린 궤양의 형태를 보이는 것이 가장 흔하다.
- 궤양은 괴사 딱지 혹은 막으로 덮여 있고 경계가 뚜렷하며 주로 사지에 생긴다.
[진 단]
- 디프테리아는 임상 증상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 확진을 위해서는 호흡기 분비물, 병변이 있는 점막을 통하여 배양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치 료]
◦ 독소가 신경이나 심근에 침범하기 전에 치료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항독소와 항생제 요법을 병행한다.
- 독소에 의한 합병증을 막기 위해 1차으로 항독소를 투여하고, 감염성과 2차 감염을 줄이기 위해 항생제를 사용한다.
- 항독소는 말의 혈청으로 만들기 때문에 먼저 정맥 투여 전 피부 반응 검사(scratch test 및 intradermal test)로 확인을 한 후 항독소를 투여하여야 한다.
◦ 발병 초 2주 정도는 절대 안정을 취해야 합니다. 회복기에도 약 1개월 정도는 안정을 취해야 합니다.
- 항생제 치료를 시행한 후 배양 검사가 음성으로 나올 때까지 격리 치료를 진행한다.
◦ 항생제 치료는 항독소 치료를 대신할 수는 없다.
-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을 경구 또는 정맥으로 14일간 투여 또는 페니실린 G를 근육 주사로 14일간 투여하는 것이 가장 좋다. 그외 클린다마이신이나 테트라사이클린, 리팜핀을 사용할 수도 있다.
◦ 치료를 종료하고 24시간 이후에 24시간의 간격을 두고 시행한 두 번의 배양 검사에서 음성임이 확인될 때 균의 완전 제거를 확인 할 수 있다.
[예 방]
- 백신(DPT, DTaP, Td 등의 디프테리아 toxoid 함유 백신)의 보급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국내에서의 디프테리아 발생이 극히 드물게 되었다.
- 과거에는 15세 이하 연령 소아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나, 최근에는 소아에서는 거의 발생 예가 없으며 반면 추가 접종률이 낮은 성인에서 발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1987년 이후 새로운 환자 보고가 없을 정도로 백신에 의하여 발생이 잘 조절되고 있다.
- 그러나 20대 이후 성인 연령에서 디프테리아에 대한 면역력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성인형 파상풍-디프테리아 백신(Td vaccine, Tetanus and Diphtheria vaccine)을 통한 면역력 유지가 필요하다.
* 디프테리아는 외독소에 의한 질환으로 자연 감염에서 회복되어도 면역 획득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디프테리아 감염증을 앓았더라도 회복된 이후 반드시 예방 접종을 해야 한다.
생후 2, 4, 6, 15~18개월 및 만 4~6세에 DPT(또는 DTaP) 접종을 하게 되며 이후 10~11세경 성인용 Td 접종을 해야 하고 이후 매 10년마다 Td 접종을 추가로 해야 한다.
[관 리]
◦ 표준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피부 디프테리아의 경우)
◦ 격리수준
- 입원 격리치료, 감염력이 소멸되는 시점까지
◦ 입원치료 시 주의사항
- 입원치료자는 입원치료 기간 동안 병실 이탈 및 이동을 제한한다.
- 입원치료자의 분비물, 배설물 등은 철저히 관리하고, 오염된 물품은 소독한다.
- 의료진을 포함한 입원실 출입자들을 최소한으로 제한한다.
- 방문자에 대하여 1회용 장갑 등의 개인보호구를 착용한다.
- 손 씻기 등 감염병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 환자의 진료에 사용되는 의료기구는 1회용 기구를 사용한 후 폐기처분하고, 1회용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은 체온계 등의 물품은 환자 전용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 격리해제
- 항생제 치료종료 24시간 이상 경과 후 24시간 이상 간격의 배양검사에서 2회 연속 음성 확인 시까지 한다.
* 비강, 구인두, 비인두 도말 검체
- (배양검사가 어려운 경우) 적절한 항생제 치료에 필요한 14일 동안 시행한다.
'감염병 > 1급감염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1) | 2023.08.18 |
---|---|
[중동호흡기증후군] MERS (0) | 2023.08.11 |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SARS (0) | 2023.08.08 |
[신종감염병증후군] (0) | 2023.08.03 |
[야토] (0) | 2023.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