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신증후군출혈열(한타바이러스감염증)은 구토, 복통, 요통, 발열, 단백뇨와 그에 따른 신부전증, 출혈성 경향을 동반하는 설치류 매개 인수공통전염병이다.

Bunyaviridae과(family), Hantavirus속(genus)에 속하는 여러 종의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며, 국내에서는 2종의 혈청형인 한탄(Hantaan)바이러스와 서울(Seoul)바이러스가 신증후군 출혈열을 일으키며, 이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탄바이러스가 더 중증의 신증후군 출혈열을 일으킨다.

 

* 주로 늦가을에 유행하는 풍토 발열 질환이다.

 건조한 시기인 10~12월과 5~7월에 많이 발생하며, 최근에는 점차 5~7월의 소유행 시기가 없어지고, 10~12월의 단일 유행 양상을 보인다.

최근에는 감염 빈도가 감소하였고, 적절하게 치료하면 15%의 사망률이 5% 미만으로 감소한다.

다만 핍뇨기나 저혈압기에는 주의해야 한다.

 

[ 그림출처 Pexels]

 

 

 

 

 

[감염경로]

 - 바이러스가 포함된 설치류의 배설물이 건조되면서 에어로졸의 형태로 호흡기를 통해 유입되어 발생한다.

 - 드물게 설치류에게 물린 상처를 통해 전염된다.

 - 들쥐나 집쥐의 배설물에 있는 바이러스가 먼지, 흙 등에 침투해 있다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서 전파된다.

 - 바이러스에 감염된 쥐는 타액()과 대변을 통해서 약 1개월간, 소변을 통해서는 1년 이상 바이러스를 배출한다.

 - 현재까지 사람간 감염사례 보고는 없다.

 

 

 

 

[증 상]

 - 신증후성 출혈열의 발열, 두통, 기침 등의 초기 증상은 가을철 유행하는 감기와 비슷한 모양을 보이므로 1~2주 이후 열이 나고 춥고 떨리며(오한), 두통 등의 감기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을 찾아서 진찰을 받아야 한다.

 - 발열, 출혈소견, 신부전이 주요3대 증상이며, 이외에 근육통, 결막충혈, 소변량 감소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1. 잠복기

보통 2~3(9~35)의 잠복기를 거친다.

 

2. 5단계의 임상 양상

 

1) 발열기

 - 갑작스러운 발열, 식욕 부진, 심한 두통, 근육통 등의 증상이 3~4일간 지속된다.

 - 결막 충혈, 출혈반(동전만 한 크기의 멍) 등이 발생한다.

 

2) 저혈압기

 - 저혈압이 수 시간~2일 정도 지속된다.

 - 혈압이 떨어지고 맥박이 빨라진다.(빈맥)

 - 중증인 경우 정신 착란, 섬망, 혼수 등 쇼크 증상을 나타나며 이 시기에 쇼크에서 회복되지 못하면 사망할 수 있다.

 - 위장관 증상과 출혈 증상이 악화된다.

   ( 헤마토크릿 수치의 상승)

 - 백혈구 증가, 지속적인 혈소판 감소증이 나타난다.

 - 단백뇨가 나타난다.

 

3) 핍뇨기

 - 핍뇨(소변을 적게 봄)3~10일 정도 지속된다.

 - 혈압은 정상화되거나 상승하지만 신부전으로 인한 노폐물이 몸에 축적되는 질소혈증, 고칼륨혈증이 발생하고, 심한 단백뇨가 동반된다.

 - 출혈 증상이 악화되면 피부의 반상출혈, 뇌출혈, 위장관 출혈,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한다.

 - 요독증, 심한 복통, 고혈압, 뇌부종으로 인한 경련, 폐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전체 사망환자의 50% 정도는 이 시기에 사망한다.

 

4) 다뇨기(이뇨기)

 - 다뇨(소변을 많이 봄)7~14일 정도 지속된다.

 - 신기능이 회복되는 시기로, 다뇨가 동반된다.

 - 신장기능이 회복되고 단백뇨가 소실되며 식욕증진, 쇠약감 소실, 출혈증상 소실 등이 나타나지만 하루 3~6L 정도로 소변량이 증가하여 심한 탈수와 전해질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 심한 탈수 및 폐 합병증으로 사망할 수 있다.

 

5) 회복기

 - 1~2개월에 걸쳐 서서히 회복된다.

 - 특이한 증상이나 징후는 없으나 다뇨, 전신 쇠약감, 빈혈이 지속될 수 있다.

 - 서울 바이러스에 의한 도시형 출혈열은 한탄 바이러스에 의한 경우보다 경한 증상을 보인다.

 

* 감염 후에는 항체가 생기고 이 항체는 수십년 후까지 유지되므로 재감염되지는 않는다.

 

 

 

 

 

[진 단]

  - 병력, 임상 증상, 검사 결과 및 병의 경과로 진단을 추정할 수 있다.

  - 바이러스 분리 검사, 혈청학적 검사,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검사를 시행하여 병을 확인한다.

 

 

 

 

 

[치 료]

 - 치료에 앞서 출혈이나 쇼크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절대 안정이 필요하다.

신증후성 출혈열의 주된 치료 방법은 대증 요법이다.

쇼크와 신부전에 대한 치료를 행한다.

두개강 내 출혈을 방지하기 위해 혈압을 적절히 치료한다.

수액요법 시에는 수액이 과다하게 보충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증상이 생긴 후 수일 이내에 항바이러스제인 리바비린(ribavirin)을 주사로 투여해 볼 수 있다.

발병 첫 4일 이내에 치료시 사망률이 낮아진다.

 

 

 

 

 

[예 방]

- 신증후군출혈열 위험지역에서 야외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접종을 통해 신증후군출혈열을 예방할 수 있다.

- 유행 지역의 산이나 풀밭에 가는 것을 피한다.

- 늦가을(1011)과 늦봄(56)의 건조기에 밤 줍기, 성묘, 등산, 캠프 등 야외할동시 풀밭 위에 옷을 벗어 놓거나 눕거나 잠을 자지 않는다.

- 휴식이나 새참 먹을 때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 쥐와의 접촉을 피하고 설치류의 배설물, 타액 등의 접촉을 최소화한다.

- 작업 및 야외활동 후 샤워나 목욕을 하고, 옷을 즉시 세탁하고, 샤워나 목욕을 한다.

- 가능한 한 피부의 노출을 적게 하며, 작업시 기피제 처리한 작업복과 토시를 착용한다.

- 작업 중 풀숲에 앉아서 용변을 보지 않는다.

- 신증후군출혈열이 의심될 경우 조기에 치료를 받는다.

- 감염 위험성이 높은 사람(고위험군)은 적기에 예방접종을 받는다.

 

예방접종 대상

- 19세 이상의 성인으로 다음의 대상자 중 위험요인 및 접종환경 등을 고려하여 제한적으로 접종 권장

- 야외활동이 많은 남자, 농부, 군인, 설치류 동물 실험실 요원

 

접종 시기

- 0.5ml1개월 간격으로 2회 피하 또는 근육주사하고 12개월 뒤에 1회 접종(0, 1, 13개월)

 

 

 

* 1951년부터 1953년까지 한국전쟁 당시 주한미군에서 약 3,200명의 출혈 경향을 보이는 발열 환자를 연구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 신증후군 출혈열의 병원체를 발견한 것은 1976년 한국의 이호왕 박사가 이끄는 고려대학교 바이러스병연구소 연구진에 의해서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1990년에 최초로 백신을 개발하게 되었다.

1976년 등줄쥐의 폐조직에서 원인 바이러스를 처음 분리하여 확인하였고, 바이러스를 발견한 한탄강의 이름을 따서 한탄 바이러스 (Hantan virus)라 명명하였다.

 

*** 한탄 바이러스는 농촌지역의 등줄쥐에 의해 옮겨지며 중증의 신증후군 출혈열을 일으키는데, 중증 신증후군 출혈열의 경우에는 쇼크와 신부전을 유발하고 10%의 사망률을 보인다.

이와 달리 서울 바이러스는 집쥐, 애급쥐, 실험용 흰쥐에 의해 옮겨지며, 주로 도시지역과 실험실에서 발생한다.

서울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은 비교적 경미하거나 무증상이고, 증상이 있어도 1~2% 의 치명율을 보인다.

 

728x90
반응형

'감염병 > 3급감염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임병]  (1) 2023.10.06
[중증열성혈소판감소 증후군] SFTS  (1) 2023.10.03
[공수병]  (3) 2023.09.26
[부르셀라증]  (3) 2023.09.01
[렙토스피라증]  (2) 2023.08.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