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균(Vibrio vulnificus)에 의한 감염으로 비브리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상처가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할 때 감염되며 8~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패혈증은 간경화와 같은 간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 알코올 중독자, 당뇨병, 만성 신부전증 등 만성 질환자들에게서 흔히 나타난다.

  해당 환자군은 6~9월 사이에 어패류 생식을 금하고, 해안 지역이나 갯벌에서의 어패류 손질 등을 피해야 한다.

- 비브리오 패혈증은 감염 이후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르고 치사율이 30%~ 50% 정도로 높다.

  특히 쇼크에 빠지는 경우 회복이 매우 힘들며 상당수의 환자들이 발병 후 48시간 이내에 사망한다.

  **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는 바다에 살고 있는 세균으로 여름철 서남 해안지역의 수온이 18∼20℃ 이상이고, 염도가 25‰정도일 때 주로 발생한다
 
[그림  출처   pixabay]
 

 

 

[감염경로]

- 만성 간질환 등 저항력이 약한 허약자들이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비브리오 불니피쿠스에 오염된 굴과 같은 어패류를 익히지 않고 날것으로 먹었을 때 감염된다.

- 해안지역에서 낚시 또는 어패류 손질시 균에 오염된 해수 및 갯벌 등에서 피부상처를 통해서도 감염된다.

- 잠복기는 1-2일이며, 피부감염의 경우는 약 12시간이다.

 

 

 

[증 상]

연조직 감염

 (해안에서 조개껍질이나 생선 지느러미에 긁혀서 생긴 상처를 통해 바닷물에 있던 균이 침입하여 발생)

- 상처 부위 부종과 홍반(붉은 반점), 물집, 조직 괴사

 

비브리오 패혈증

 (간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 균에 오염된 해산물을 익히지 않고 날것으로 먹었을 경우 발생)

- 1~2일의 잠복가 후 급작스런 발열, 오한, 전신 쇠약감 등이 나타나고 구토와 설사가 동반

- 증상이 생기고 나서 36시간 이내에 대부분의 환자에서 피부에 병적인 변화가 나타남

 : 사지(주로 하지)에서 시작

  발진과 부종 -> 수포 또는 출혈성 수포-> 괴사성 병변 

 

 

 

 

[진  단]

 - 어패류의 접촉 및 섭취 유무 및 바닷물의 접촉 여부를 문진으로 확인한 후 임상증상과 혈액, 대변, 피부 병변 등에서 검체를 채취한 후 균 배양 겸사를 통하여 원인균을 확인한 후 진단한다.

 - 대부분 혈액검사를 통한 균을 분리하여 빠른 진단을 한다.

 

 
 
 

[치  료]

- 3세대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 등의 항생제를 단독 혹은 병합 투여한다.

- 비브리오 패혈증 환자에서 흔히 조직 괴사가 동반되므로 필요에 따라 절개, 배농 등 외과적 처치를 시행한다.

 

 

 

 

[예  방]

1. 어패류는 흐르는 물에 씻고 85이상에서 완전히 익혀먹기

2.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과 접촉 금지

3. 바닷물 접촉 후, 물과 비누로 노출 부위 씻기

4. 바닷물 어패류는 가급적 5이하에서 저온 저장

5. 어패류를 취급할 경우 장갑 착용, 요리한 도마, 칼 등은 소독 후 사용

 
 

 

 
728x90
반응형

'감염병 > 3급감염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진열]  (0) 2023.08.23
[발진티푸스]  (0) 2023.08.22
[레지오넬라]  (1) 2023.08.14
[말라리아]  (0) 2023.08.12
[C형 간염]  (0) 2023.08.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