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두창(smallpox)는 천연두라고도 하며 한때는 전 세계에 분포했던 바이러스였으나 1980년 완전히 종식되었다고 선언한 바이러스이다. 이후 백신 투여도 중단되었다.

 두창은 발열, 수포, 농포성의 병적인 피부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급성 질환으로, 두창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사망률이 매우 높은 감염질환으로, 한 때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세계 전체 사망 원인의 10%를 차지하기도 하였다.

 현재까지 자연적인 질병의 발생은 보고된 바는 없으나, 두창 바이러스가 생물 테러무기로 이용될 가능성이 알려지면서 최근 다시 관심이 모이고 있는 질환이다.

 두창바이러스는 사람에 감염하는 매우 큰 바이러스로, 광학현미경으로서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최초로 발견한 거대 바이러스였다.

 두창은 발열, 수포, 농포성의 병적인 피부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급성 질환으로, 두창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사망률이 매우 높은 감염질환으로, 한 때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세계 전체 사망 원인의 10%를 차지하기도 하였다. 두창은 종식선언 이후, 현재까지 자연적인 질병의 발생은 보고된 바가 없다. 그러나 두창 바이러스가 생물 테러무기로 이용될 가능성이 알려지면서 최근 다시 관심이 모이고 있는 질환이다.

[그림 출처 pixabay]
 
 
 
 
 

[원 인]

두창 바이러스(variola virus)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한다. 감염된 환자의 입, , 인후 점막에 있는 두창 바이러스가 기침 등에 의해서 주위에 있는 사람에게 옮겨져 감염을 일으킨다. 빌딩, 버스, 기차와 같이 제한적으로 밀폐된 공간에서는 두창 바이러스가 공기 중에 떠다니면서 전파될 수도 있다. 무증상의 보균자는 없다.

 

 

 

 

[전파 경로]

비말에 의해 감염되므로 감염된 환자의 입, , 인후 점막에 있는 두창 바이러스가 기침 등에 의해 주위에 있는 사람에게 옮겨져 감염을 일으킨다. 오염된 옷이나 침구류 등에 의한 전파도 가능하다. 또한 빌딩, 버스, 기차 등 제한적 밀폐된 공간에서는 두창 바이러스가 공기 중에 떠다니면서 전파될 수도 있다.

 

 
 
 

[진 단]

임상적으로는 피부에 수포 및 농포를 나타내는 다른 바이러스 질환과 구별이 어렵지만, 갑작스럽게 고열이 나면서 시간이 경과하면서 피부에 같은 형태의 수포나 농포가 있을 때 의심할 수 있다. 두창 바이러스를 확인하면 확진이 가능하다.

 
 
 
 

[증 상]

 - 갑작스런 고열, 허약감, 오한, 구토, 두통, 허리통증, 심한 복통, 의식의 변화, 특유의 붉은 작은 반점 모양의 피부발진(구강,인두,얼굴,,몸통,다리)

 - 1~2일 이내에 수포가 생기며 8~9일경에 딱지가 생김. 딱지가 떨어진 자리에 서서히 깊은 흉터가 남아 곰보라고 불리는 피부모양이 생김.

 - 미리 예방접종을 하여 면역이 있는 경우나 소두창의 경우에는 증상이 약하게 나타남.

 
 

 

 

 

[치 료]

특이적인 치료는 없으며 수액공급과 전해질 교정, 피부 관리, 감염 합병증 조절 등 지지적인 치료가 중요.

 

 

 

 

* 1756년에서 1767년까지 있었던 영국군과 북미 원주민(인디안)과의 전쟁에서 영국군이 의도적으로 두창 환자가 쓰던 담요를 원주민에게 선물하여 두창을 만연시키고 그 중 50% 이상을 사망하게 하였다.

 그러나 그 후 1976년 에드워드 제너의 종두법 개발로 두창의 전쟁무기화 의도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두창의 생물무기로서의 중요성을 다시 불러일으킨 문제는 1979년 두창의 세계적 박멸이라는 세계보건기구의 선포였다. 소련연방은 1990년대에 이르기까지 대단위 생물무기 계획을 유지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현재 생물무기 개발 계획을 보유한 나라는 최소한 10개국 정도로 파악되고 있다. 이러한 국제 분위기로 볼 때 두창이 발생할 경우 다른 어떤 감염병보다 파괴력이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과거 역사상 경험하였던 어떤 감염병보다 피해가 훨씬 클 것이다. 그 이유를 요약해 보면 과거 20여 년간 두창 예방접종이 중지되었기 때문에 지구상에 많은 비면역자들이 분포되어 있으며, 자유롭게 활발히 유동하고 있기 때문에 전염을 확산 촉진할 것이며, 치료약이 없고 비축하고 있는 백신이 매우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1980년에 백신이 중단되고나서 1981년 이후 출생한 사람은 약 2300만 명이며 국내에는 3502만 명분의 천연두 백신이 비축되어 있다고 함)

 
728x90
반응형

'감염병 > 1급감염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저]  (0) 2023.07.26
[페스트]  (0) 2023.07.25
[리프트밸리열]  (0) 2023.07.24
[남아메리카출혈열]  (0) 2023.07.21
[크리미안 콩고 출혈열]  (0) 2023.07.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