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크리미안 콩고 출혈열(CrimeanCongo hemorrhagic fever; CCHF)

 1844년 크림전쟁에 참전했던 러시아 군인들 사이에서 처음 나타난 바이러스성 출혈열의 일종이다.

 1969년, 아프리카에 퍼져있던 콩고바이러스와 동일한 종임이 확인되어 러시아의 풍토병이 아니라 아프리카의 풍토병임이 확인되고 크리미안콩고출혈열로 명명되었다.

 아프리카, 발칸반도, 중동, 아시아에서 주로 발생한다.  

 

 

[특 징]

 매개체(vector)인 진드기에게 물린 후 1~3, 바이러스에 오염된 혈액이나 조직에 노출되었을 때에는 5~6일간의 잠복기를 거쳐 독감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난다.

 이 증상은 1주일 내에 사라지지만, 75% 이상의 환자들이 증상 발현 3~5일 후 출혈 경향을 주로 하는 중증으로 발전하게 된다. 기분 변화, 흥분, 혼란, 목의 점상 출혈반이 CCHF로 발전했을 때의 초기 증상이다. 곧이어 비출혈, 혈뇨, 토혈, 혈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간부전, 범발성 혈관내 응고(DIC), 신부전이 뒤따를 수도 있다.

 

[그림 출처 pixabay]

 

[감염 경로]

 - 주로 감염된 진드기에 물리거나 감염된 동물의 혈액, 조직 접촉에 의해 전파된다.

농부나 도축장 근로자들이 이 질병에 감염되기 쉽다.

-  체액에 의해 전파될 수도 있다.

-  대부분 축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서 발생하며 사망률은 최대 40%이다.

동물 -> 동물 : 진드기- 동물-진드기 순환으로 소, , 염소, 조류 등 다양한 동물 감염  (감염된 동물의 경우 증상이 없거나 경한 증상)

동물 -> 사람 : 인체 감염은 야외활동시 진드기에 물리거나 도살 후 감염된 동물의 혈액, 조직 접촉을 통해 감염

사람 -> 사람 : 감염된 사람의 혈액, 체액과 직접접촉 또는 의료기구, 주사기 재사용 등 침습적 의료행위 통해 병원 내 전파

 
 
 

[증 상]

 잠복기의 길이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방식에 따라 다르다.

 진드기에 물린 후 잠복기는 보통 1~3일이며, 감염된 혈액이나 조직과의 접촉 후의 잠복기는 일반적으로 5-6일이다.

 증상의 발현은 발열, 근육통, 현기증, 목 통증 및 뻣뻣함, 요통, 두통, 눈의 통증 및 광선 공포증과 함께 갑자기 시작된다.

 메스꺼움, 구토, 설사, 복통, 인후통이 초기에 나타나고, 그 후에 급격한 감정기복과 혼란이 올 수 있다.

 2~4일 후, 증상은 졸음, 우울함 및 나른함으로 바뀔 수 있으며, 복통은 간비대와 함께 복부 사분면의 우측 상부 영역에 국한되어 나타날 수 있다.

  빈맥(빠른 심장 박동수), 림프절 병증(림프절 비대), 그리고 입과 목과 같은 내부 점막 표면과 피부 상에 나타나는 점상 발진(피부 출혈로 인한 발진)이 있다. 점상출혈은 반상출혈이라고 하는 더 큰 발진과 기타 출혈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CCHF로 인한 사망률은 약 30%이며 사망은 질환 2주 차에 발생한다. 회복된 환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발병 후 9일 또는 10일 째에 호전이 시작된다

 

 
 
 

[진 단]

CCHF 바이러스 감염은 다음의 몇 가지 실험실 검사로 진단할 수 있다.

-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 검사법(ELISA)

- 항원 검출

- 혈청 중화

- 역전사효소 중합효소 연쇄 반응(RT-PCR) 분석

- 세포 배양에 의한 바이러스 분리

 

 

 

 

[치 료]

대증치료(상용화된 특이 치료제 없음) 적절한 수분 공금, 통증완화, 합병증 관리

크림-콩고 출혈열 감염을 치료를 위해 항바이러스 약품인 리바비린(ribavirin)을 사용

 

 

 

 

[예 방]

- 야외활동 시 풀숲에 가지 않도록 하고 진드기가 밀집한 지역에 있을 때 피부가 거의 노출되지 않도록 잘 보호하는 것을 포함해 질병을 옮길 수 있는 진드기에 물리는 것을 방지

-발열, 출혈 등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크리미안콩고출혈열 환자와 접촉 피하기

-불필요한 현지 의료기관 방문 자제

-귀국 후 21일 이내에 발열 등 감염 의심 증상 발생시 보건용 마스크 착용 후 의료기관 방문 및 보건소와 전화 상담

 
 
728x90
반응형

'감염병 > 1급감염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프트밸리열]  (0) 2023.07.24
[남아메리카출혈열]  (0) 2023.07.21
[라싸열]  (0) 2023.07.18
[마버그열]  (0) 2023.07.17
[에볼라 바이러스병]  (0) 2023.07.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