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장출혈성대장균(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감염에 의하여 출혈성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 1982년 미국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며, 주로 출혈을 동반한 수양성 설사를 일으킨다.

- 주로 6~9월에 걸쳐 많이 발생한다.

- 감염원은 대장균 O157로 알려진 장출혈성 대장균이며 아직까지 이 균에 유효한 백신은 없다.

- 입원 치료가 원칙이며 환자, 보균자의 배설물에 오염된 물품은 소독해야 한다.

 

 

 

[전파경로]

- 주로 제대로 익히지 않은 소고기나 오염된 식품이나 물 등을 통해 감염된다.

- 적은 양으로도 감염될 수 있어 사람 간 전파로도 감염될 수 있다.

- 대부분의 발생은 소고기로 가공된 음식물에 의하며, 집단 발생은 조리가 충분치 않은 햄버거 섭취로 발생하는 예가 많다.

 

* 이환기간 및 증상 소실 후 대변에서 균이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전파 가능하며, 보통 성인에서 1주일 이하, 어린이의 1/33주 가량 균이 배출된다.

 

[그림 출처 pixabay]

 

 

 

[증  상]

- 3~8일의 잠복기를 거친 후 증상이 5~7일간 지속된 후 저절로 호전된다.

- 발열, 오심, 구토, 심한 경련성 복통을 호소한다.

- 설사는 혈액이 나오지 않는 경증에서부터 수양성 설사, 혈성설사 상태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 합병증으로 용혈성 빈혈, 혈소판 감소, 신장 기능 부전, 중추신경계 증상을 포함하는 용혈성 요독 증후군이 생길 수 있다.

- 고령이나 유아의 경우 감염의 위험성이 높다.

 

 

 

 

[진 단]

◎  확인 진단

- 검체(대변, 직장도말물)에서 시가(Shiga) 독소 유전자를 보유한 E. coli 를 분리 동정한다.

추정 진단

- 검체(대변, 직장도말물)에서 시가(Shiga) 독소 유전자를 검출한다.

 

* 장출혈성 대장균은 장출혈성 대장균들이 갖고 있는 Shiga 독소(Shiga toxin, Stx1, Stx2)에 의해 질병 유발이 되기 때문에 장출혈성 대장균 시험법에서는 시가독소 확인을 우선적으로 진행한다.

 

 

 

 

[치 료]

대증 치료: 경구 또는 수액으로 수분, 전해질을 보충한다.

 

* 격리

- 환자는 격리하여 치료해야 하며, 설사로 인한 탈수증세를 완화시키기 위해 수액을 적절하게 보충한다.

* 격리 해제 (증상이 있는 경우)

- 증상이 완전히 소실된 후 24시간이 지나거나 항생제 치료를 중단하고 28시간이 지난 경우, 24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대변 배양검사에서 2회 연속 음성을 확인한 경우

* 격리 해제 (증상이 없는 경우)

- 병원체 보유 확인 후 28 시간이 지나거나 항생제 치료를 중단하고 48시간이 지났을 경우, 24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대변 배양검사에서 2회 연속 음성을 확인한 경우

 

격리 해제까지 음식 조리, 간호, 간병, 보육 금지한다.

설사 증상 소실 후 48시간 수영을 금지한다.

 

 

 

 

[예 방]

◎ 올바른 손 씻기 시행한다.

- 흐르는 물에 비누 또는 세정제 등을 사용하여 30초 이상 손 씻기

 

안전한 음식물을 섭취한다.

- 음식은 충분한 온도에서 조리하여 익혀먹기

- 물은 끓여 마시기

- 채소과일은 수돗물에 깨끗이 씻어서 벗겨 먹기

 

음식은 위생적으로 조리한다.

- 칼ㆍ도마는 소독하여 사용하기

- 조리도구(채소용, 고기용, 생선용)는 구분하여 사용하기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 음식 및 준비하는 것 금지한다.

 

, 호수 수영장에서 수영할 때, 강물, 호수 물, 수영장물 마시지 않는다.

 

 

728x90
반응형

'감염병 > 2급감염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진]  (2) 2023.10.20
[E형간염]  (1) 2023.10.18
[유행성이하선염]  (1) 2023.10.14
[A형 간염]  (1) 2023.10.10
[폐렴구균 감염증]  (0) 2023.09.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