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성충은 가늘고 긴 채찍 모양의 선충(round worm, whipworm)이며, 수컷은 3-4 cm, 암컷은 4-5 cm이다.

충체의 앞 3/5는 가는 식도 부위인데, 이 부위를 장점막을 누빈 것 같이 삽입하여 매복한 상태에서 기생한다.

성충의 주된 기생부위는 맹장과 충수돌기이지만, 충체 수가 많으면 직장까지 넓게 분포할 수 있다.

인분을 비료로 쓰던 시절에는 회충과 함께 편충 감염도 많았지만, 지금은 찾아보기 드물다.

편충은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토양매개성 윤충으로 회충(Ascaris lumbricoides)과 공존하는 경향이 있다.

 
 

[감염 경로]

알이 들어있는 흙으로 오염된 음식물을 삼키는 경우, 오염된 흙과 접촉한 후 손에서 입으로 알을 옮기는 경우, 아이들은 이 기생충 알로 오염된 흙을 삼킬 수도 있다.

 

* 유충은 소장에서 부화하고, 대장으로 이동하여, 장 내막에 머리 부분을 고정시킨다.

각 유충들은 약 4.5인치(11cm) 길이의 성체 기생충으로 자라며 약 1~2년간 사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일부는 더 오래 살 수도 있다. 암컷 편충은 알을 생산하고, 이는 대변으로 배설된다.

 

[그림  출처   pixabay]

 

 

 

[진 단]

대변검사를 하면 편충의 알이 있는지 확인해서 진단할 수 있고. 대장내시경을 하다가 편충을 발견하는 때도 있다

 

 

 

 

[증 상]

복통과 McBurney’s point 압통, 만성설사 및 혈변, 빈혈 및 체중감소, 탈항, 메스꺼움, 복부 팽만, 변비 등이 흔한 증상이다.

 

* 편충은 적은 수가 감염되면 증상이 거의 없다.

가끔 너무 많은 수가 감염되면 장 출혈 때문에 검붉은 색 설사를 하거나 빈혈이 생길 수 있다.

직장 가까이 감염되면 항문탈장이 생기기도 하지만 다른 기생충에 비해서는 사람에게 피해가 적다.

 

 

 

 

[치 료]

- 메벤다졸, 알벤다졸 또는 이버멕틴(기생충을 제거하는 항기생충제-구충제)을 복용한다.

- 편충 감염 치료를 위해서는 메벤다졸, 알벤다졸 또는 이버멕틴을 경구 복용한다. 3일 동안 12회 복용하는 메벤다졸은 심각한 감염에 선호된다.

- 대안으로, 3일 동안 11회 복용하는 알벤다졸 또는 이버멕틴을 복용할 수도 있다.

* 보통 이 약물들이 태아에게 해를 끼칠 수 있기에, 이중 어떠한 약물도 임산부에게 투여하지 않는다.

 

 

 

[예 방]

 - 적절한 위생(특히 위생적인 화장실 시설) 철저

 - 양호한 개인위생 지키기

 - 음식 만지기 전 반드시 손을 씻고, 씻지 않은 과일 및 야채는 피하기

 

 

728x90
반응형

'감염병 > 4급감염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흡충증] Clonorchiasis  (0) 2023.09.08
[요충증] Enterobiasis  (1) 2023.08.26
[회충증] Ascariasis  (0) 2023.08.25
[매독]  (2) 2023.08.07
[인플루엔자]  (0) 2023.07.28

+ Recent posts